요시자와 겐키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시자와 겐키치는 1874년에 태어나 1965년에 사망한 일본의 외교관이다. 도쿄 제국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899년 외무성에 들어가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아모이, 상하이 영사를 거쳐 런던 주재 일본 대사관 1등 서기관, 한커우 총영사, 중화민국 주재 공사를 역임했다. 1925년에는 일소기본조약을 체결하여 일본과 소련 간의 국교를 수립했다. 1930년에는 주 프랑스 특명전권대사, 이후 국제 연맹 대표를 지냈다. 1932년 이누카이 내각에서 외무대신을 지냈으나 5·15 사건으로 내각이 해산되었다. 태평양 전쟁 직전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특사로 파견되었으나 협상은 결렬되었고,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주재 일본 대사를 역임했다. 전후에는 공직에서 추방되었다가 해제된 후 중화민국 주재 일본 대사를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 주재 일본 공사 - 시게미쓰 마모루
시게미쓰 마모루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복귀하여 부총리 겸 외무대신으로서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에 기여한 인물이다. - 중화민국 주재 일본 대사 - 기무라 시로시치
기무라 시로시치는 1927년 도쿄 제국대학 법과 졸업 후 외교관으로 중국 각지 근무, 체코슬로바키아 및 스리랑카 대사를 거쳐 초대 주한 특명전권대사로서 한일 관계 개선에 기여하고, 일본 대만 교류 협회 이사장을 역임하며 양국 관계 유지에 힘쓴 일본 외교관이다. - 이누카이가 - 이누카이 다케루
이누카이 다케루는 이누카이 쓰요시의 아들이자 일본의 정치인 겸 작가로, 입헌정우회, 일본진보당, 민주당, 자유당을 거쳐 자유민주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제4차 요시다 내각에서 법무대신을 역임했고 시라카바파 참여 및 중일 관계 회복을 위한 노력 등 작가로서도 활동했다. - 이누카이가 - 이누카이 쓰요시
이누카이 쓰요시는 자유주의 정치 운동가 출신으로 입헌정우회 총재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일본 정치인이었으나, 재임 중 군부와의 갈등으로 5·15 사건 때 암살당하여 일본 군부 득세와 정당 정치 쇠퇴의 계기가 되었다.
요시자와 겐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芳沢 謙吉 (요시자와 겐키치) |
출생일 | 1874년 1월 24일 |
출생지 | 조에쓰시, 니가타현 |
사망일 | 1965년 1월 5일 |
사망지 | 도쿄도 |
정당 | 릿켄 세이유카이 |
학력 | 도쿄 제국대학 |
직위 | |
직함 | 제42대 외무대신 |
국왕 | 쇼와 천황 |
임기 시작 | 1932년 1월 14일 |
임기 종료 | 1932년 5월 26일 |
이전 | 이누카이 쓰요시 |
이후 | 사이토 마코토 |
기타 정보 | |
위계 | 종2위 |
훈장 | [[File:JPN Toka-sho BAR.svg|38px]]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
가족 | 이누카이 쓰요시(장인), 이누카이 다케루(처남) |
2. 생애
요시자와 겐키치는 1874년 1월 24일, 니가타현 나카쿠비키군 스와 마을(현재의 조에쓰시 오아자 스와)에서 촌장 요시자와 조료의 아들로 태어났다. 니가타현립 타카다 중학교(현재의 니가타현립 타카다 고등학교), 세리츠 학사, 도쿄 영어 학교, 제2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1899년 외무성에 들어갔다. 1902년에는 중국 아모이 주재 일본 영사관에, 이후 상하이 주재 영사관에 배속되었다.
요시자와 겐키치는 1899년 외무성에 들어가면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1902년 중국 아모이의 일본 영사에 임명되었고, 이후 상하이의 영사로 근무했다.
1905년 이누카이 쓰요시의 장녀와 결혼 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일본 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으로 근무했다. 1912년에는 중국 한커우 총영사로 임명되었다. 1923년부터 1929년까지는 중화민국 주재 공사를 역임하며 베이징과 톈진의 일본 영사관에서 근무했다.[1] 1925년 베이징에서 소련 외무장관 레프 카라한과 회담을 갖고 일소기본조약을 체결하여 일본과 소련 간의 국교를 수립했다.[1]
1930년, 주 프랑스 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었다. 이후 국제 연맹의 공식 대표를 역임하였다.[2]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 고노에 후미마로 총리에 의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특사로 임명되어 경제 교섭을 진행했다.[4] 요시자와는 바타비아에서 네덜란드 정부에 새로운 요구 사항을 제시했지만, 이는 의도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4] 결국 협상은 실패로 끝났고, 1941년 6월 11일, 제국 대본영과 정부의 연락 회의에서 요시자와를 소환하고 회담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5]
1941년부터 194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주재 일본 대사로 활동했다. 당시 이 지역은 대부분 일본의 군사 점령하에 있었으므로 이 직책은 주로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요시자와 겐키치는 장인인 이누카이 쓰요시가 총리로 있는 이누카이 내각의 외무대신으로 1932년 1월 14일에 취임했다.[3] 외무대신 재임 중, 5·15 사건으로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가 암살되면서 내각이 해산되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요시자와 겐키치는 1874년 1월 24일, 니가타현 나카쿠비키군 스와 마을(현재의 조에쓰시 오아자 스와)에서 촌장 요시자와 조료의 아들로 태어났다. 니가타현립 타카다 중학교(현재의 니가타현립 타카다 고등학교), 세리츠 학사, 도쿄 영어 학교, 제2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1899년 외무성에 들어갔다. 1902년에는 중국 아모이 주재 일본 영사관에, 이후 상하이 주재 영사관에 배속되었다.2. 2. 외교관 경력
요시자와 겐키치는 1899년 외무성에 들어가면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1902년 중국 아모이의 일본 영사에 임명되었고, 이후 상하이의 영사로 근무했다.1905년 이누카이 쓰요시의 장녀와 결혼 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일본 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으로 근무했다. 1912년에는 중국 한커우 총영사로 임명되었다. 1923년부터 1929년까지는 중화민국 주재 공사를 역임하며 베이징과 톈진의 일본 영사관에서 근무했다.[1] 1925년 베이징에서 소련 외무장관 레프 카라한과 회담을 갖고 일소기본조약을 체결하여 일본과 소련 간의 국교를 수립했다.[1]
1930년, 주 프랑스 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었다. 이후 국제 연맹의 공식 대표를 역임하였다.[2]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 고노에 후미마로 총리에 의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특사로 임명되어 경제 교섭을 진행했다.[4] 요시자와는 바타비아에서 네덜란드 정부에 새로운 요구 사항을 제시했지만, 이는 의도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4] 결국 협상은 실패로 끝났고, 1941년 6월 11일, 제국 대본영과 정부의 연락 회의에서 요시자와를 소환하고 회담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5]
1941년부터 194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주재 일본 대사로 활동했다. 당시 이 지역은 대부분 일본의 군사 점령하에 있었으므로 이 직책은 주로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2. 3. 이누카이 내각 외무대신
요시자와 겐키치는 장인인 이누카이 쓰요시가 총리로 있는 이누카이 내각의 외무대신으로 1932년 1월 14일에 취임했다.[3] 외무대신 재임 중, 5·15 사건으로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가 암살되면서 내각이 해산되었다.[3]2. 4. 귀족원 의원 및 정계 활동
2. 5.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1940년, 요시자와 겐키치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와의 경제 교섭 전권 대표로 임명되어 일본의 경제적 이익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바타비아에서 네덜란드 정부에 광물 탐사 및 개발, 어업 및 해운 권리, 상업 기업 설립 권리 등 여러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4] 그러나 이 협상은 일본 측의 과도한 요구[4]로 인해 결국 결렬되었다.[5] 1941년 6월 11일, 제국 대본영과 정부의 연락 회의에서 요시자와를 소환하고 회담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5]1941년부터 1944년까지 요시자와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주재 일본 대사로 활동했다.[2] 당시 이 지역은 대부분 일본의 군사 점령하에 있었으므로 이 직책은 주로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1945년 8월, 그는 추밀원 의원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의 항복과 함께 요시자와는 미국 점령 당국에 의해 공직에서 추방되었다. 1951년 공직 추방 해제 후, 1952년 타이완에 중화민국 주재 일본 대사로 임명되어 1956년까지 재직했다.
2. 6. 사망
3. 외교 정책 및 평가
요시자와 겐키치는 일본 제국 최고의 아시아 전문가이자, 뛰어난 외교관으로 평가받는다.[1] 1925년 베이징에서 소련 외무장관 레프 카라한과의 회담을 통해 일소기본조약을 체결하여 일본과 소련 간의 국교를 정상화시킨 것은 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1] 이후 주 프랑스 일본 대사, 국제 연맹의 공식 대표를 역임하였다.[2]
1932년 이누카이 쓰요시 내각의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 5·15 사건으로 내각이 해산되면서 물러났다.[3] 그 후, 쇼와 천황의 명으로 귀족원 의원이 되어 입헌정우회에 입당했다.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에는 고노에 후미마로 총리에 의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특사로 임명되어 경제 교섭을 진행했다.[4] 요시자와는 네덜란드 측에 광물 탐사 및 개발, 어업 및 해운 권리, 상업 기업 설립 등 여러 분야에서 무제한적인 권리를 요구하는 등, 의도적으로 수용 불가능한 요구 조건을 제시했다. 결국 협상은 실패로 끝났고, 1941년 6월 11일, 제국 대본영과 정부의 연락 회의에서 요시자와를 소환하고 회담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5]
1941년부터 194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주재 일본 대사로 활동했다. 당시 이 지역은 대부분 일본의 군사 점령하에 있었으므로 이 직책은 주로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1945년 8월, 추밀원 의원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의 항복과 함께 미국 점령 당국에 의해 공직에서 추방되었다가 1951년 해제되었다. 1952년 주 중화민국 대사로 임명되어 타이완과의 관계 강화에 힘썼으며, 1956년 12월 공직에서 은퇴하였다.
3. 1. 비판
4. 가족 관계
아버지 요시자와 조료는 니가타현 스와 촌 초대 촌장이다.[6] 아내 미사오는 이누카이 쓰요시의 장녀이다.[6] 이누카이 내각에서는 외무대신으로 기용되었다.[6] 사위 이구치 사다오는 외무사무차관 및 주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했다.[6]
손자로는 국제협력기구이사장 및 유엔 난민 고등판무관실고등판무관 등을 역임한 국제정치학자 오가타 사다코, 국제법학자이자 전 뉴질랜드 대사인 이구치 타케오, 전 외무성사무차관 및 시종장을 역임한 가와시마 유타카, 게이오기주쿠 대학 교수이자 일본 여성 유엔 직원의 선구자인 사사나미 요코(구 성씨 가와시마), 수학자 요시자와 미쓰오 등이 있다.[6]
5. 서훈
;위계
- 1899년(메이지 32년) 12월 21일 - 종7위[16]
- 1904년(메이지 37년) 2월 29일 - 정7위[16]
- 1907년(메이지 40년) 3월 20일 - 종6위[16]
- 1909년(메이지 42년) 7월 10일 - 정6위[16]
- 1912년(메이지 45년) 5월 10일 - 종5위[16]
- 1916년(다이쇼 5년) 10월 10일 - 정5위[16]
- 1920년(다이쇼 9년) 12월 20일 - 종4위[16]
- 1925년(다이쇼 14년) 12월 28일 - 정4위[16][17]
- 1929년(쇼와 4년) 8월 1일 - 종3위[16]
- 1932년(쇼와 7년) 1월 15일 - 정3위[16][18]
- 1965년(쇼와 40년) 1월 5일 - 종2위
;훈장 등
- 1902년(메이지 35년) 12월 28일 - 훈6등 단광욱일장[16]
- 1904년(메이지 37년) 5월 20일 - 훈5등 서보장[16][19]
-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 - 쌍광욱일장・메이지 37・38년 종군기장[16][20]
- 1907년(메이지 40년) 9월 14일 - 훈4등 서보장[16]
- 1911년(메이지 44년) 8월 24일 - 욱일소수장[16][21]
- 1915년(다이쇼 4년)
- * 9월 29일 - 훈3등 서보장[16]
- * 11월 10일 - 대례 기념장(다이쇼)[16]
- 1916년(다이쇼 5년) 1월 19일 - 욱일중수장[16][22]
- 1918년(다이쇼 7년) 9월 29일 - 훈2등 서보장[16][23]
- 1920년(다이쇼 9년) 9월 7일 - 욱일중광장・다이쇼 3년 내지 9년 전역 종군기장[16]
- 1924년(다이쇼 13년) 5월 31일 - 훈1등 서보장[16]
- 1926년(다이쇼 15년) 2월 10일 - 욱일대수장[16][24]
- 1928년(쇼와 3년) 11월 10일 - 대례 기념장(쇼와)[16]
- 1934년(쇼와 9년) 4월 29일 - 금배 1조[16]
- 1965년(쇼와 40년) 1월 5일 - 욱일동화대수장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07년(메이지 40년) 10월 23일 - 프랑스 공화국: 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16]
- 1908년(메이지 41년) 4월 29일 - 러시아 제국: 성 안나 2등 훈장[16]
- 1910년(메이지 43년) 2월 14일 - 대한제국: 훈3등 태극장[16][25]
- 1911년(메이지 44년) 10월 5일 - 대영 제국: 황제 폐하 대관 기념장[16]
- 1912년(다이쇼 원년) 10월 9일 - 대영 제국: 빅토리아 훈장 코맨더[16]
- 1918년(다이쇼 7년) 4월 16일 - 중화민국: 2등 대수 가화장[16]
- 1921년(다이쇼 10년) 2월 5일 - 루마니아 왕국: 왕관 2등 훈장[16]
- 1927년(쇼와 2년) 5월 27일 - 독일국: 적십자 1등 명예장[16]
- 1932년(쇼와 7년) 1월 17일 - 프랑스 공화국: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16]
- 1934년(쇼와 9년)
- * 3월 1일 - 만주 제국: 대만주국 건국 공로장[16]
- * 5월 9일 - 만주 제국: 훈1위 경운장[16]
5. 1. 일본
요시자와 겐키치는 메이지 32년(1899년) 12월 21일 종7위를 시작으로[16], 쇼와 40년(1965년) 1월 5일 종2위까지 위계가 올랐다.[16]메이지 35년(1902년) 12월 28일 훈6등 단광욱일장을 수여받은 것을 시작으로[16], 쇼와 40년(1965년) 1월 5일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까지 여러 훈장을 받았다.[16]
또한, 메이지 40년(1907년) 10월 23일 프랑스 공화국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를 수여받는 등[16], 외국 훈장 착용 허가를 받아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다.
5. 2. 외국
요시자와 겐키치는 프랑스 공화국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16],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성 안나 2등 훈장[16], 대한제국으로부터 훈3등 태극장[16][25]을 받았다. 대영 제국으로부터는 황제 폐하 대관 기념장[16]과 빅토리아 훈장 코맨더[16]를 받았다. 중화민국으로부터는 2등 대수 가화장[16]을, 루마니아 왕국으로부터는 왕관 2등 훈장[16]을 받았다. 독일국으로부터 적십자 1등 명예장[16]을, 프랑스 공화국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16]를 수여받았다. 만주 제국으로부터는 대만주국 건국 공로장[16]과 훈1위 경운장[16]을 받았다.참조
[1]
서적
Japanese Foreign Policy in the Interwar Period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
서적
The Manchurian Crisis and Japanese Society 1931–1933
Routledge
[3]
서적
Japanese Foreign Policy in the Interwar Period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4]
서적
The War of the World; Twentieth Century Conflict and the Descent of the West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5]
웹사이트
The 29th Imperial General Headquarters and Government Liaison Conference
http://www.jacar.go.[...]
1941-06-11
[6]
웹사이트
芳澤謙吉 (8th Edition )
https://jahis.law.na[...]
Nagoy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Law
1928-07
[7]
웹사이트
芳沢 謙吉とは
https://kotobank.jp/[...]
2021-05-29
[8]
웹사이트
芳澤記念公園、芳澤記念館
https://www.city.joe[...]
上越市
2021-05-29
[9]
웹사이트
おわりに
http://www.kubikino-[...]
2021-05-29
[10]
웹사이트
外交官としての生涯
http://www.kubikino-[...]
諏訪の里づくり協議会
2021-05-29
[11]
웹사이트
おわりに
http://www.kubikino-[...]
諏訪の里づくり協議会
2021-05-29
[12]
웹사이트
芳沢‐カラハン会議とは
https://kotobank.jp/[...]
2021-05-29
[13]
간행물
『官報』第1651号
1932-07-02
[14]
뉴스
仏印に特派大使派遣、初代は芳澤謙吉『朝日新聞』(昭和16年9月10日夕刊)『昭和ニュース辞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p564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
[15]
간행물
貴族院要覧(丙)
貴族院事務局
1947-12
[16]
웹사이트
芳澤謙吉
https://www.jacar.ar[...]
[17]
간행물
『官報』第4045号「叙任及辞令」
1926-02-20
[18]
간행물
『官報』第1518号「叙任及辞令」
1932-01-25
[19]
간행물
『官報』第6265号「叙任及辞令」
1904-05-21
[20]
간행물
『官報』第7578号・付録「辞令」
1908-09-28
[21]
간행물
『官報』第8454号「叙任及辞令」
1911-08-25
[22]
간행물
『官報』第1038号「叙任及辞令」
1916-01-20
[23]
간행물
『官報』第1850号「叙任及辞令」
1918-10-02
[24]
간행물
『官報』第4038号「叙任及辞令」
1926-02-12
[25]
간행물
『官報』第7992号「叙任及辞令」
1910-02-16
[26]
서적
シベリア出兵―近代日本の忘れ去られた七年戦争
中央公論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